반응형
2025년 산불 피해 주민이라면 꼭 확인해야 할 신청 기한과 절차
산불로 인해 주택이 전소되거나 생계에 큰 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‘이재민’으로 등록해 다양한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이재민 등록과 지원 신청에는 정해진 기한이 있으므로, 언제까지 신청 가능한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이재민 지원 신청 기한은?
이재민 지원 역시 피해 발생일로부터 3개월 이내 접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
특별재난지역은 최대 6개월 이내까지 연장 신청할 수 있습니다.
구분신청 기한
일반 지역 | 피해일 기준 90일 이내 |
특별재난지역 | 피해일 기준 180일 이내 |
📌 이재민 등록이 완료되어야만 다음과 같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:
- 임시 거주시설 제공
- 긴급생계비, 의료비, 생필품 지원
- 공공요금 감면 및 심리 상담 서비스
- 무상주택 지원 및 전세임대 특례
🏠 이재민 등록 신청 방법
▶ 오프라인 신청
- 신청 장소: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
- 제출 서류: 이재민 등록 신청서, 신분증, 피해 증빙자료(사진 등), 주민등록등본
- 절차 요약:
- 주민센터 방문 → 피해 접수
- 현장 실사 후 → 이재민 등록
- 이후 복구·복지·주거지원 연계
▶ 온라인 신청
- 신청 사이트: 국민재난안전포털
- 신청 메뉴: ‘사유재산 피해신고’ 또는 '이재민 등록'
- 온라인 신청 시, 사진 및 관련 서류를 스캔 또는 촬영 후 업로드해야 합니다.
❗ 기한 내 신청하지 않으면?
- 이재민으로 등록되지 않으면
→ 임시주거, 주택복구자금, 심리상담 등 지원 제외 - 복구 지원금, 긴급복지 대상 제외 → 주택이 전소되어도 지원받지 못할 수 있음
📌 신청 전 체크리스트
✅ 피해 사진 10장 이상 확보
✅ 주민등록등본 최신본
✅ 주택 소유권 관련 서류(등기부등본 or 임대차계약서)
✅ 건강보험증, 신분증 지참
📞 문의처
- 국토부 주거복지지원과: ☎ 044-201-4531
- LH 주거복지계획처: ☎ 055-922-3301
-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시청 재난안전과
- 온라인 접수: 국민재난안전포털 바로가기
🟡 산불 피해를 입으셨다면 3개월 안에 꼭 이재민 등록을 완료하세요.
🟢 등록 이후 다양한 복구 지원과 복지 제도가 자동 연계됩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