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2025년 산불 이재민 긴급 무상주택 지원제도 안내] 경북·울산·경남 피해 주민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

by 복댕이 생활 2025. 4. 2.
반응형

🔥 경북·울산·경남 특별재난지역 피해 주민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총정리

2025년 3월, 경북·울산·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수많은 이재민이 발생했습니다.

정부는  국토교통부와 LH(한국토지주택공사)를 중심으로  [긴급 무상주택 지원제도]를 빠르게 시행하고 있습니다.

지원 대상 지역, 지원 내용, 신청 방법, 직접 신청 가능한 포털까지 정리해 드립니다.

2025 산불 이재민 긴급 무상주택지원 경북 울산 경남

✅ 긴급지원주택이란?

긴급지원주택은 산불 등 재난으로 거주지를 잃은 이재민에게 공공임대주택을 무상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
최초 2년간의 월세는 전액 지원되며, LH와 지자체가 절반씩 부담해 이재민은 무료로 거주할 수 있습니다.

 

📍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산불 피해 지역

아래 8개 지역은 정부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하여, 우선적으로 주거·생계·복구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.

구분지역명
경남 산청군, 하동군
울산 울주군
경북 안동시, 청송군, 영양군, 영덕군, 의성군

 

🏠 현재 확보된 무상 주택 수

지역확보 주택 수
경북 610호
울산 141호
경남 107호

이재민은 [지자체 신청 → 대상자 확인 → 입주 절차 진행] 과정을 통해 주택을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🏡 전세임대주택 특례제도도 함께 지원

  • 대상: 특별재난지역 이재민
  • 내용: 민간 전세주택에도 LH가 계약하여 재임대
  • 지원 한도: 기존 7,000만 원 → 최대 1억 3,000만 원 상향
  • 이점: 이재민이 원하는 지역으로 유연하게 거주 가능

 

🏗️ 주택 복구 융자제도도 있음

  • 대상: 피해 주택 복구 희망자
  • 금리: 연 1.5% 저리 융자
  • 지원 한도: 면적별 차등, 최대 1억 2,400만 원
  • 자금 출처: 주택도시기금

 

🛠️ 현장 중심 지원도 강화

LH는 피해지역에 현장지원반을 설치하고,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.
공공임대 외에도 민간주택 매입 및 추가 공급도 진행하고 있습니다.

 

📌 신청 방법 & 바로가기

1. 방문 신청

  • 장소: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
  • 구비 서류: 피해 사진, 주민등록등본, 등기부등본 등
  • 주의 사항: 산불 피해 후 6개월 이내 신청 권장

2. 온라인 신청

 

📞 신청 문의처

  • 국토부 주거복지지원과: 044-201-4531
  • LH 주거복지계획처: 055-922-3301
  • 해당 지자체 재난안전부서 또는 읍면동 주민센터
  • 행정안전부 재난복구지원국 복구지원과(044-205-5318)
  • 행정안전부 환경산림재난대응과(044-205-6183)
  • 산림청 산불방지과(042-481-4251)
  • 금융위원회 산업금융과(02-2100-2866)
반응형